워킹맘의 똑똑한 재테크 이야기
재테크의 기본 연말정산 전략! 환급 받는 방법 본문
연말이면 다가오면 직장인이면 필수적으로 하는 절차, 바로 연말정산 시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연말정산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환급에 대해서 알아보고 환급 받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연말정산이란?
연말정산은 1년 동안 근로자가 납부한 소득세를 정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근로자의 야근수당, 성과급, 기타 지원금 등에 대해서 국가가 모두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지난 1년간 회사가 간이세액표에 따라 원천세를 계산하는데 이를 징수해 미리 국세청에 제출했던 근로소득세를 연말에 신청해서 그 다음해에 정산하게 되는 것입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란?
연말정산 시기에 납부해야할 근로소득세를 다시 계산할때 근로자의 소득에서 공제혜택이 있다면 공제해서 세금을 계산을 합니다.
그 두 가지가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라고 하는데 이에 대한 개념에 대해거 알아보겠습니다.
소득공제는 내가 한 해동안 번 소득을 깍아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제항목은 인적공제, 연급보험료공제, 주택자금공제, 신용카드등의 사용금액 공제가 있습니다.
1년 동안 번 소득에서 해당 항목 조건에 해당하는 금액을 빼고 과세표준을 계산하게 됩니다.
세액공제는 내가 내야할 세금을 직접적으로 줄여주는 것입니다.
세액공제 항목은 연금계좌, 자녀공제, 교육비, 기부금, 월세납부액이 있습니다.
⬇️2025 연말정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에 대해서 알아보기! ⬇️
2025년도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과 세액공제 항목 완벽 정리
저번 포스팅에서 연말정산 기본 개념과 계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연말정산의 소득공제 항목과 세액공제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고 2025년도에 변동된 공제 항목에 대
ttokmom.tistory.com
연말정산 계산하는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자.
[1단계] 근로소득세 공제하기
근로소득 금액=총 급여(급여+상여+인정상여) - 근로소득세
급여, 상여, 인정상여를 모두 합친 총 급여를 계산해서 근로소득세를 제외합니다. 여기서 총 급여는 비과세 항목인 식비, 자차 운전보조금은 제외하며 근로소득세는 소득 구간에 따라 다릅니다.
[2단계] 과세표준, 소득공제 받은 후 내야하는 세금 비율 계산하기
종합소득 과세표준=근로소득 금액 - 인적공제 - 연금보험료 공제 - 특별소득 공제 - 그 외 소득공제 + 소득공제 한도초과액
근로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를 받은 후 내야하는 세금의 비율을 계산해야 합니다. 이는 위에서 설명했던 과세표준에 의한 세금응 계산합니다.
이 단계에서의 중요한 점은 소득공제를 잘 받아 과세표 준 구간을 낮춰 세율을 낮게 적용 받는 일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소득공제인 인적공제, 연금보험료공제, 신 용카드/체크카드/현금영수증 사용액 등 다양한 항목들이 있으니 적용할 수 있는 내용들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3단계] 산출세액 구하기
산출세액=종합소득 과세표준*기본세율
소득공제를 적용했다면 과세표준이 금액 구간이 정해 지고 구간에 따라 세율을 적용해 납부해야하는 세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세율은 정책에 따라 변동되므로 매년 꼭 확인하세요!
[4단계] 세액공제로 세금을 한 번 더 줄이기
결정세액=산출세액-세액감면 및 공제
지금까지 내야하는 세금을 구해봤는데요. 세액공제로 한 번 더 세금을 줄일 수 있 습니다. 세액공제는 산출된 세금에서 세금을 감면해 줍니다. 세금을 냈지만 세금을 깎아주는 항목에 해당 하면 공제를 받는 것이죠. 공제 항목에는 근로세액공제, 자녀세액공제, 특별세액공제(보험료, 의료비, 교 육비, 기부금 등), 연금계좌 세액공제 등 다양합니다.
세액공제율은 항목마다 다르고 매년 추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항상 확인하셔야합니다.
[5단계] 최종적으로 납부해야 할 세금 계산하기
차감징수세액=결정세액-기부납부세액
세액공제까지 받게 되면 최종적으로 개인에게 부과되는 세금인 결정세액이 구해집니다. 결정세액에서 이미 1년동안 납부한 세액을 빼면 세금을 환급받거나 혹은 세금을 더 내게 되는지가 정해집니다.
✅결정세액>원천징수액 : 차액을 납부
✅결정세액<원천징수액 : 차액을 환급
이렇게 연말정산 개념과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올해도 곧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고 있는데 연말정산 시 환급 받을 수 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연말정산 환급받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기⬇️
2025 연말정산 절세 전략 - 13월의 월급 받아보자!
이전 포스팅에서 연말정산 기초지식과 공제항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면 최대한 환급을 많이 받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올해 13월의 폭탄이 아닌 13월의 월급을 받기 위해 2025년도 변경
ttokmom.tistory.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연말정산 변경 사항 - 신용카드 소득공제, 다자녀/결혼/출산/주택관련 세액공제 확대! (1) | 2024.11.09 |
---|---|
2025년도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과 세액공제 항목 완벽 정리 (6) | 2024.11.08 |
중소기업 재직자라면 필수 정보!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혜택 한눈에 정리하기 (3) | 2024.11.02 |
퇴직금, 퇴직연금의 종류와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1) | 2024.10.30 |
티스토리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 도전해보려 합니다. (2)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