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의 똑똑한 재테크 이야기

주린이의 주식공부 - EPS 살펴보기 본문

주식

주린이의 주식공부 - EPS 살펴보기

똑순맘 2024. 12. 31. 00:13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가치 투자를 하기 위한 아래 5가지 요소 중에 두번째 주당순이익(EPS)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1. 자기자본이익률 ROE
2. 주당순이익(EPS)
3. 주가수익비율(PER)
4. 이브이에비타(EV/EBITDA)
5. 주가순자산비율(PBR)

 


⬇️주식의 가치를 파악해서 저평가 종목 찾기⬇️

 

주린이의 주식공부 - 주식의 가치를 파악해서 저평가 종목 찾기

이번에 테슬라 상승이 끝없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주가가 상승장을 타는 것은 복합적인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저평가된 종목을 찾아서 투자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ttokmom.tistory.com

 

 

EPS(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계산 방법과 뜻은??

EPS는 기업가치와 주가수준을 평가할 수 있으며 한 주당 1년간 벌어들이는 순이익이 얼마인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PS는 주식 투자에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거나 주가가 적정한지 판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Net Income)을 그 기업의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쉽게 말해, 

EPS = 순이익(Net Income) / 발행 주식 수(Total Shares Outstanding)

예를 들어 기업의 순이익이 100억 원이고 발행 주식 수가 1,000만 주라면 이 기업은 주당 1,000원의 순이익을 창출한 것입니다.

 EPS=100억/1,000만=1,000원

 

 

 

즉, EPS가 높다는 것은 기업의 수익성이 뛰어나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EPS가 낮다면, 기업이 한 주당 벌어들이는 이익이 적거나 손실을 보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EPS의 활용하는 투자 전략 3가지

1. 성장주 발굴: EPS 성장률을 주목하라!

EPS는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특히, EPS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기업은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로 성장주 투자에 적합합니다.

 

  • 최근 3~5년간 EPS 성장률(Annual EPS Growth)을 확인합니다.
  • EPS 성장률이 꾸준히 높은 기업을 선택합니다.
  • 향후 산업 전망과 연계하여 성장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EPS는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보여줍니다. EPS 수치의 성장률이 높을수록 기업이 주주에게 더 많은 이익을 제공 할 가능성이 큽니다.

위의 표에서 A,B,C 회사를 보면 1차년도 예상EPS는 A회사115로 더 높으나 증가율은 B회사가 38%로 높습니다. 이렇게 더 큰주가 상승률을 기대할 수 있는 B회사가 투자하기 좋은 회사라고 판단 할 수 있습니다.

 

 

2. 저평가 가치주 찾기: PER과 EPS를 함께 활용

EPS는 PER(주가수익비율)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며, 기업의 적정 주가를 평가하는데 필수적입니다. PER이 낮으면서 안정적인 EPS를 기록하는 기업은 저평가된 가치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당 기업의 PER이 업계 평균보다 낮은지 비교하고 낮은 PER를 보이는 기업은 추가 분석 후에 매수의 기회를 찾아보면 도움이 됩니다.

PER = 주가/EPS  

 

PER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틍에서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3. 배당주 선택: EPS로 배당 안정성 평가하기

배당주 투자를 고려한다면 EPS를 통해 기업의 배당 지급 여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EPS가 높은 기업은 배당을 안정적으로 지급하거나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보통 기업의 배당성향(Dividend Payout Ratio)을 확인하는데, 계산식은 배당성향=배당금/EPSX100 을 계산해서 배당성향이 높지 않은지(일반적으로 50% 이하가 적절) 확인합니다.

또한, EPS가 꾸준히 증가하는 기업은 배당 안정성이 높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EPS 분석 시 유의할 점

1. 일회성 수익의 영향

기업의 순이익이 일회성 요인(자산 매각, 환율 차익 등)으로 증가하면 EPS가 과대 평가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조정 EPS(Adjusted EPS)를 확인 할 필요가 있습니다.

2. 발행 주식 변동

유상증자나 액면분할로 인해 발행 주식 수가 증가하면 EPS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희석 EPS(Diluted EPS)를 참고해야 합니다

 

3. 산업 특성 고려

산업별로 평균 EPS 수준이 다를 수 있어 동일 산업 내에서 비교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PS는 주식 투자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수치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 산업 특성, 기타 재무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EPS를 제대로 활용하면,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발굴하거나 저평가된 종목을 찾아낼 수 있으며,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